본문 바로가기

2021년43

밈 주식(meme stock) 1. 블룸버그는 2021년 글로벌 비즈니스를 정의하는 인물/개념 50선을 선정했다. 그 중 한 가지는 밈 주식(meme stock: 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 개인투자자들이 몰리는 주식)이다. 게임스톱, 도지코인 같은. https://www.bloomberg.com/features/2021-bloomberg-50 Bloomberg - Are you a robot? We've detected unusual activity from your computer network To continue, please click the box below to let us know you're not a robot. www.bloomberg.com 2. 밈 주식 열풍(craze)은 기존 경제학 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가.. 2021. 12. 30.
[이코노미스트] 2022년을 이끌 10대 트렌드 * 본문 내 링크는 임의 추가 1.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 : 미중 갈등 심화에 따라 미국은 민주주의 기치 아래 동맹국을 집결시키려 할것이다. 그러나, 요즘 미국 상태를 보면 미국이 외치는 민주주의가 그닥 잘 팔릴 것 같지는 않다.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01/what-people-around-the-world-like-and-dislike-about-american-society-and-politics/pg_2021-11-01_soft-power_0-04/ Most believe the U.S. is no longer a good model of democracy Embed www.pewresearch.org 2. 팬데믹에서 풍토병으로 : 이제 선진국.. 2021. 12. 29.
17개 선진국 대상 정치 시스템 개혁 희망도 설문 by 퓨리서치 * 퓨리서치는 non-partisan, non-advocacy를 표방한다. 0. 정치시스템 개혁을 원하는 이유는, 경제, 팬데믹, 불평등과 상관 있다. 1. 17개국 중 민주주의 만족도 중위값인 대만은 57%가 민주주의에 만족하고, 41%는 불만족한다. 권역별 가장 만족하는 국가는 캐나다, 스웨덴, 싱가포르. 가장 불만은 미국, 그리스, 일본. 2-1. 권역별 정치 시스템 개혁을 가장 원하는 국가는 미국, 이탈리아 한국. 가장 적게 원하는 국가는 캐나다, 스웨덴, 뉴질랜드. 2-2. 권역별 경제 시스템 개혁을 가장 원하는 국가는 미국, 이탈리아, 한국. 가장 적게 원하는 국가는 캐나다, 스웨덴, 뉴질랜드. 2-3. 권역별 의료 시스템 개혁을 가장 원하는 국가는 미국, 그리스, 일본. 가장 적게 원하는 국.. 2021. 12. 24.
범용 인공지능 GPT-3의 자연어 처리 1. GPT-3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는 OpenAI가 개발한 범용 인공지능 모델이다. 1,750억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주제만 정해줘도 작문이 가능하다, 영화서평, 각본, 에세이, 가사, 매뉴얼 등 장르 불문. 자연어로 원하는 코딩을 설명하면 코딩을 짜준다. 1-1. GPT-3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 : https://arr.am/2020/07/09/gpt-3-an-ai-thats-eerily-good-at-writing-almost-anything/ 1-2.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은 다양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고 인간과 흡사한 지적 판단이 가능한 AI를 의미한다. ‘Strong.. 2021. 12. 19.
지열 활용해 에너지 생산 하려면? 1. 지열만 잘 활용해도 전세계 에너지 수요를 두배 넘게 충족시킬 수 있다. 탄소 배출도 없고, 풍력이나 태양광과 달리 일정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원자력 같이 공포를 주지도 않는다. 그러나 현재 지열의 국제 에너지 수요 커버 비율은 0.3%에 불과하다. 2. 앞으로는 지열 활용이 늘어날 수도 있다. 미국 에너지부가 미국 내 4개 지역에 파일럿을 실시하기로 했다. 미국 에너지부의 2019년 보고서는 2050년에 미국 에너지 9%가 지열을 통해 생산될 거라 예측했다. 또한 빌게이츠도 지열 활용 스타트업에 투자 중이다. 3. 지열 활용이 쉽지만은 않다. 기술-규제-자본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어렵다. 경제성 있게 지열 활용하려면 7km는 파야 된다(미 서부가 그렇고 동부는 더 파야한다). 일반 기업용 드릴로.. 2021. 12. 18.
Good bye darkness, my old friend 1. 현재 지구 저궤도에는 스페이스X의 위성이 1,584개 있다. 한번에 60개씩 2년 간 쏴올렸다. 앞으로 1년 간 1,000개 이상 더 쏴올릴 계획이다. 스페이스X만 쏘는 건 아니다. 아마존도, 중국도, 심지어 르완다도 쏜다. 수년 뒤 밤 하늘의 풍경은 지금과 사뭇 다를지도 모른다. 2. 천문업계에는 스트레스다. 전파천문이든 관측천문이든 모두 영향 받는다. 그래서 더 높은 궤도로 우주망원경을 발사하거나, 달 뒷면에 관측소 건립을 검토한다. 한편, 위성통신 업계도 위성의 밝기를 낮춰 협조하기는 한다. 3. 이미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의 탐색과 이용에 있어서의 국가 활동을 규율하는 '우주 조약'이 있다. 하지만 인간의 활동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우주 조약의 내용도 고도화 되어야 할 것이다. 위성.. 2021. 12. 16.
세계 일터의 5가지 트렌드 1. 퇴사가 전염병처럼 번진다. : 저임금 저복지 회사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동료 한명이 퇴사하면 마음이 동요된다. 2. 퇴사 이유는 코로나 전염을 피해,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가족과 시간을 쓰기 위해서이다. : 이러한 개인들의 퇴사는 집단적으로는 노동 공급량 감소로 귀결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글로벌 경제 회복에 타격을 줄 것이다. 3. 고령 구직자는 나이를 숨긴다. : 직장 내 연령 차별(ageism)에 대한 걱정이 높아지고 있다(45세 이상을 고령으로 보는 듯). 4. 어린 노동자들은 기후불안(climate anxiety)겪는다. : 자기 직무가 기후변화를 가속시키는 건 아닐지 걱정한다. 5. 번아웃 증상자가 계속 늘어난다. : 복수의 연구가 증명했다. 쉬어야 한다. 특히 .. 2021. 12. 16.
사무공간의 미래 1. 부서 간 협업이 요구되는 시대다. 동시에 원격근무를 하며 서로 마주칠 일이 줄은 시대이기도 하다. 직원 100%가 출근하질 않는데 비싼 땅값 내고 넓은 사무실 갖추는 건 낭비일 수 있다. 이런 요인들은 오늘날의 사무공간을 미래에는 어떤 모습으로 바꿀까? 2. 한 가지 예측은 사무공간에서 'Neighborhood'가 더 많은 면적을 차지할 거란 것이다. 네이버후드는 강당, 휴게실, 구내 바 같은 공유공간이다. 이제 사무공간은 직원들이 관계를 형성하고 협업하기 위해 가는 곳이 된다. 이는 원격보다 대면환경이 더 적합하다. 때문에 사무공간은 이 용도로 특화될 것이다. 3. 네이버후드가 늘어서이든 비싼 땅값으로 사무공간 자체를 축소해서든 사무공간 내 개인의 자리는 좁아질 것이다. 좁아진 공간을 효율적으로 .. 2021. 12. 9.
블록체인 기반 게임의 경쟁자는 우버다 1. Axie infinity(포켓몬고와 비슷) 같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으로 현실 소득을 올리는 인구가 생겨나고 있다. 다른 사람 크리쳐(포켓몬 같은) 빌려서 돈 벌고, 크리쳐 주인에게 수수료 낸다. 2. 리니지나 와우로 돈 버는 인구가 이전부터 있었으니 뭐가 새롭냐 싶을 수 있다. 새로운 점은 블록체인 기반이라는 것이고, 블록보다 중요한 것은 '체인'이다. 체인이 있기 때문에 역사가 누적될 수 있다. 하던 게임이 하루 아침에 문 닫지 않는다. 한 게임에서의 자산을 다른 필드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다. 3. 또한 리니지나 와우는 해외유저가 사기치고 잠적했을 때 잡을 도리가 없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반 게임들은? 사기꾼의 디지털지갑을 추적하면 된다. 디지털지갑은 애초에 국경 개념이 없으니까. 4. 게.. 2021.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