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자일3

코로나19와 공급망 변화 목표는 유연하고, 기민하고, 회복력 있는 공급망을 만드는 것이다. 1. 코로나19 초기에는 코로나19의 결과로 지역화(regionalization), 니어쇼어링(Near-shoring)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 실제로는 말만큼 훅 일어나지는 않았다. 대신 생산거점 보다는 저장거점을 늘리는 식으로 진행됐다. 그렇지만 향후 3년간은 지역화, 니어쇼어링이 일어날 것으로 본다. 2. 유통망 위기관리의 범위는 넓어졌으나, 깊이는 깊어지지 못했다. 위기관리를 위해 미성숙 기업은 새 소프트웨어 도입에 집중하고, 성숙 기업은 관행을 바꾸는 데 주력한다. 최우선 과제는 나의 공급사(supplier)가 누구고, 어디에 있고, 어떤 위기를 마주하고 있는지 꿰는 것이다. 3. 이래저래 애널리틱스와 디지털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2021. 12. 2.
커뮤니티 주도 제품 생산 1. 커뮤니티(SNS, 뉴스레터, 홈페이지 매개체가 뭐든) 주도의 제품 생산이 '린 생산'의 새로운 버전이될 것이다. 1-1. 도요타 자동차의 경영모형인 린 생산의 5가지 특징 중 하나는 이렇다: 고객이 생산자로부터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게 하며, 완벽함을 추구하도록 한다. 1-2. 처음부터 완제품을 출시하지 않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생산한 뒤 사용자의 피드백을 거듭 수정하며 완제품을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린 생산, 커뮤니티 주도 생산, 디자인 씽킹, 애자일 제조, 오픈 이노베이션은 모두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것 같다. 2. 암튼 그래서 이제 기업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이다. 주의할 것은 Community와 Audience는 다르다는 것이다. .. 2021. 8. 5.
우리 정부의 애자일화, 언제쯤 올까? 1. 기획재정부 산하기관인 한국재정정보원은 21년 3월 블로그에 애자일 방법론 도입을 주장하는 글을 실었다(외부 필진 기고). 기고문에 따르면 한국정부는 20년 7월 한국판 뉴딜을 띄우며 선도국가가 될 것을 천명했는데, 애자일 방식의 정책 추진이 선도국가의 과제라고. 2. 경기도가 출연한 경기연구원은 20년 5월 발간물 를 통해 상황조정 예산인 애자일(Agile) 예산 운영을 제언했다. 3. 20년 12월 캐나다, 덴마크, 이탈리아, 일본, 싱가포르, 아랍에미레이트, 영국 7개국은 신기술의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한 애자일 국가헌장(Agile Nations Charter)을 채택했다. 4차 산업혁명 변화 속도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이다. 국가헌장 채택을 위한 모임은 OECD와 다보스포럼이 주재했다. 애자일 국.. 2021.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