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뮤니티(SNS, 뉴스레터, 홈페이지 매개체가 뭐든) 주도의 제품 생산이 '린 생산'의 새로운 버전이될 것이다.
1-1. 도요타 자동차의 경영모형인 린 생산의 5가지 특징 중 하나는 이렇다: 고객이 생산자로부터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게 하며, 완벽함을 추구하도록 한다.
1-2. 처음부터 완제품을 출시하지 않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생산한 뒤 사용자의 피드백을 거듭 수정하며 완제품을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린 생산, 커뮤니티 주도 생산, 디자인 씽킹, 애자일 제조, 오픈 이노베이션은 모두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것 같다.
2. 암튼 그래서 이제 기업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이다. 주의할 것은 Community와 Audience는 다르다는 것이다. 전자는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나, 후자는 기업이 개별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일방향 소통만 의미한다. 커뮤니티 조성한다면서 이용자 간 소통을 막고, 이용자에게 일방향 메시지만 뿌리는 기업은 똥볼을 차고 있는 것이다.
3. 커뮤니티 주도 생산은 탈중앙화와도 궤를 함께 한다. 아이돌 팬클럽 분포가 좋은 예다. 메이저 아이돌만 팬클럽이 있는 게 아니다. 커뮤니티별로 제각각의 제품을 원한다.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인플루언서의 중요성도 커진다. 고생끝에 행시 패스한 공무원, 박사 취득자의 현타는 이런 데서도 온다.
참고자료
https://medium.com/swlh/why-the-next-wave-of-startups-will-be-community-led-e4ed219e6637
Why the Next Wave of Startups Will Be Community-Led
Entrepreneurs, creators, and businesses are finding that having a community first is the fastest way to launch and sell their content and…
medium.com
https://ko.m.wikipedia.org/wiki/%EB%A6%B0_%EC%83%9D%EC%82%B0
린 생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린 제조(lean manufacturing) 또는 린 생산(lean production)은 도요타 자동타(Toyota)의 1930년 경영 모형인 "도요타 방식(The Toyota Way)"(도요타 생산 체계(Toyota Production System, TPS)에서 파생된 생산 방법(production
ko.m.wikipedia.org
'202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101 (1) | 2021.08.13 |
---|---|
Akoin을 사용하는 Akon의 Akon City (0) | 2021.08.07 |
친환경에너지 경제와 사회 안전망 (0) | 2021.07.29 |
고학력 백수, 태평천국, 곽철용 (0) | 2021.07.27 |
(우주에도) 일단 관광지를 만들면 관광객이 온다.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