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탈중앙화4

메타마스크 운영사의 Web3* report 독후감 * Web3: 모든 자료와 정보가 분산화, 분권화된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로서, 서버가 없는 혁신적인 인터넷 분산형 웹 0. 메타버스, 블록체인, NFT가 거품인지 아닌지를 개별적으로 논하는 건 의미가 없어 보인다. Web3 시대가 오냐마냐에 따라 세트로 자리잡든 세트로 사라지든 할 것 같다. 1. 블록체인에 기반한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아예 대출에 특화된 암호화폐도 있다. : 예일대 아니카 싱 레마 교수에 따르면 "최근 어느 해에는 뉴욕시에서 민사법원에 제기된 소비자 채무 관련 소송만 32만 건으로, 같은 해 연방법원에 제기된 전체 소송 건수와 맞먹는다." : 태국에서는 IT 기술로 무장한 소액금융업자가 기존의 고리대금업자를 대체하고 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 2021. 12. 6.
커뮤니티 주도 제품 생산 1. 커뮤니티(SNS, 뉴스레터, 홈페이지 매개체가 뭐든) 주도의 제품 생산이 '린 생산'의 새로운 버전이될 것이다. 1-1. 도요타 자동차의 경영모형인 린 생산의 5가지 특징 중 하나는 이렇다: 고객이 생산자로부터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게 하며, 완벽함을 추구하도록 한다. 1-2. 처음부터 완제품을 출시하지 않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생산한 뒤 사용자의 피드백을 거듭 수정하며 완제품을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린 생산, 커뮤니티 주도 생산, 디자인 씽킹, 애자일 제조, 오픈 이노베이션은 모두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것 같다. 2. 암튼 그래서 이제 기업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이다. 주의할 것은 Community와 Audience는 다르다는 것이다. .. 2021. 8. 5.
권위주의와 앱마켓의 비민주성 1.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관료들이 자신의 지시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질타했다. 시 주석의 이런 세계관과 앤트그룹 때리기, 비트코인 금지, 디디추싱 앱 삭제는 독립 사건일까? 2. 첫눈엔 권위적인 중국 공산당 리더십만 보인딘. 하지만 한 걸음 더 들어가면 앱 마켓 거버넌스의 비민주성이 보인다. 권위주의 정권이 권위적으로 굴 수 있는 뒤에는 비민주적인 인터넷 거버넌스가 있다. 앱마켓이 민주적이었으면 공산당이 일방적으로 디디추싱 앱 삭제를 명령하지도, 앱마켓이 이를 이행하지도 못 했을테니까. 3. 앱마켓의 비민주성은 구글과 애플의 과점 상태 때문이기도 하고, 월드와이드웹 자체가 초기 청사진과는 달리 이용자에게 자유를 가져오지 못하고 중앙권력의 손에 들어갔기 때문이기도 하다. 구글과 애플도 어.. 2021. 7. 16.
공유경제의 나머지 부분 쏘카, 에어비엔비, P2P 대출 등은 한정된 자원을 보다 많은 사람이 사용하게 해주고, 기존 기업들 보다 낮은 거래 수수료를 받는다는 점에서 공유경제의 대표 사례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게 공유경제의 전부일까? 1. 자원은 정말 부족하기만 한가? 미국 전 노동부 장관 로버트 라이시는 오늘날 공유경제를 ‘(부스러기) 공유경제’라고 불렀다. 부유층도 공유경제에 편입될까? 파이는 누가 갖고 있고, 하층민은 부스러기까지 공유해야 하는가. 세계 빈부격차가 심화 되는 중에 공유경제 패러다임이 등장한 건 우연인가. 2. 탈중앙화는 좋기만 한가? 세계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정부의 영향력이 약해지는 가운데 탈중앙화가 더 자주 언급되는 것은 왜인가. 탈중앙화의 또 다른 이름은 ‘알아서 해라’이지는 않은가? 정치란 "가치의 .. 2021.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