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1년 7월, 제프 베조스는 아마존 CEO직을 사임했다. 현재 그가 말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블루 오리진'이다. 블루 오리진은 2000년에 그가 창립한 우주 로켓 기업이다. 1982년, 고등학교 졸업연설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우주, 그 마지막 개척지에서 만납시다!"
2. 2020년 출판된 제프베조스의 글 모음집 <발명과 방황>을 통해 그의 우주에 대한 청사진을 볼 수 있다. 프리스턴대학의 물리학 교수 제라드 오닐이 강한 영감을 줬다. 제라드 오닐의 화두는 다음과 같다: “인간이 태양계로 확장한다면 그 최적의 장소는 행성 표면일까?”
http://naver.me/5eG0jdF9
발명과 방황 : 네이버 통합검색
'발명과 방황'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link.naver.com
https://astronomy.com/news/2019/05/oneill-colonies-a-decades-long-dream-for-settling-space
O’Neill colonies: A decades-long dream for settling space
To fast-track human spaceflight, Amazon founder Jeff Bezos suggests people consider taking up residence in O’Neill colonies, a futuristic concept for space settlements first dreamed up decades ago.
astronomy.com
3. 위의 화두에 대한 제라드 오닐의 답은 '아니다'이다. 대신 그는 우주 공간 자체에 '오닐 실린더'라는 우주거주구(Space colony)를 건설하는 것을 제안했다. 우주거주구란 차원이 다르게 큰 우주정거장이라 이해해도 어느 정도는 맞다, 중력이 존재하고 1,000만명이 영구 거주한다는 등 차이도 크지만. 제프 베조스는 우주거주구 건설을 통해 태양계에 1조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다고 본다.
https://youtu.be/gTDlSORhI-k
https://namu.wiki/w/%EC%9A%B0%EC%A3%BC%20%EA%B1%B0%EC%A3%BC%EA%B5%AC#s-3.1
4. 신소재 개발해서 어디다가 쓰나 했더니, 우주거주구 건설 얘기할 때 되게 많이 나온다(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5. 재미있는 것은 미국에서 우주 담론이 횡적으로, 종적으로 유통되는 방식이다. 학자들은 우주관련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컨텐츠 산업은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 소설을 쓰고, 영화를 만든다. 어린 세대는 우주 컨텐츠를 소비하며 다음 시대를 준비한다. 예로 NASA가 2020년 발사해 2021년 화성에 착륙한 탐사선 'Perseverance'는 그 이름이 학생 공모전을 통해 지어졌다.
https://www.nasa.gov/press-release/virginia-middle-school-student-earns-honor-of-naming-nasas-next-mars-rover
Virginia Student Earns Honor of Naming NASA's Next Mars Rover
NASA's next Mars rover has a new name – Perseverance.
www.nasa.gov
6. 제프 베조스는 말한다. 인터넷이 없었다면, 도로가 없었다면, 신용카드가 없었다면 아마존은 불가능했을 거라고. 그러면서 묻는다. 우리는 다음 세대를 위해 어떤 인프라를 구축해줄 것이냐고. 그것이 자기가 블루오리진 하는 이유라 한다.
7. 물론 성공이 담보된 것이 아니며, 순탄할 가능성은 없다. 애리조나 사막에 독립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던 실험 '바이오스피어2'가 있었다. 당초 실험기간은 100년으로 잡았다. 결과는 어땠을까. 2년만에 실패로 끝났다.
https://namu.wiki/w/%EB%B0%94%EC%9D%B4%EC%98%A4%EC%8A%A4%ED%94%BC%EC%96%B4%202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U 2021 민주주의 지수 (0) | 2022.02.22 |
---|---|
블랙록 CEO가 전세계 CEO들에게(2022) (2) | 2022.02.12 |
베네딕트 에반스의 산업 거시 트렌드 전망 (1) | 2022.02.03 |
노동공급 감소와 로봇의 대체 가능성 (0) | 2022.02.02 |
뷰티 필터: Reality distortion field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