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년

[이코노미스트] 2022년을 이끌 10대 트렌드

by nomaddamon 2021. 12. 29.

* 본문 내 링크는 임의 추가

1.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
: 미중 갈등 심화에 따라 미국은 민주주의 기치 아래 동맹국을 집결시키려 할것이다. 그러나, 요즘 미국 상태를 보면 미국이 외치는 민주주의가 그닥 잘 팔릴 것 같지는 않다.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01/what-people-around-the-world-like-and-dislike-about-american-society-and-politics/pg_2021-11-01_soft-power_0-04/

Most believe the U.S. is no longer a good model of democracy

Embed

www.pewresearch.org


2. 팬데믹에서 풍토병으로
: 이제 선진국에서 코로나19는 목숨을 위협하는 병은 아니다. 백신과 치료제 보급이 이 추세로 이뤄진다면 코로나19는 지금의 말라리아 같은 위상이 될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걱정 거리가 아니지만, 개도국에서는 이 때문에 수많은 사람이 죽는.

3. 인플레이션 우려
: 공급사슬 중단(supply chain disruption)과 에너지 수요 폭증으로 물가가 상승할 것이다.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이라 하지만, 글쎄.

https://www.blackrock.com/corporate/insights/blackrock-investment-institute/publications/outlook

2022 Global Outlook | BlackRock Investment Institute

A new market regime We see 2022 heralding a new regime by delivering global stock gains and bond losses for a second year – what would be a first since data started in 1977. This unusual outcome is the next phase of our new nominal theme that is still pl

www.blackrock.com


4. 일터의 미래
: 재택과 사무실의 혼합 근무가 자리잡긴 할텐데, 누가 며칠 할건지 같은 세부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기까지는 더 진통이 있을 것이다. 사무실 근무 선호자와 재택근무 선호자끼리 권력 라인이 생길지도.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1/12/04/the-office-of-the-future

The office of the future

Cubicles are out. Bars, neighbourhoods and sensors are in

www.economist.com


5. 기술기업 때리기
: 이 부문에서는 중국이 가장 앞서 있다. 중국은 기술기업에 게임이나 쇼핑을 위한 기술보다는 지정학적 전략을 위한 기술 개발을 요구한다. 과연 기술강국이 되는 데 약이 될지, 독이 될지?

https://www.economist.com/leaders/2021/10/02/chinas-new-reality-is-rife-with-danger

China’s new reality is rife with danger

The president will be defined by his campaign against his country’s capitalist excesses

www.economist.com


6. 암호자산 성장
: 암호자산은 이제 주류 자산형태에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 전선은 신생기업, 기존기업, 중앙은행 중 누가 암호자산 칼자루를 쥐냐에 있다.

7. 기후위기
: 이상기후는 점차 빈번히 목격되고 있는데, 정책결정자들은 덜 조급하다. 전지구적인 협력이 필요한데 서방과 중국의 갈등은 깊어진다. 기후공학이 우리어게 시간을 좀 더 벌어줄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8. 이동 문제
: 경제활동이 재개되며 국경 이동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해외 출장은 이전 수준의 절반 정도까지만 회복될 것이다.

9. 우주 경쟁
: 최초로 민간여행객이 정부 육성 우주인보다 우주에 더 많이 나가는 해가 될 것이다. 중국의 새 우주정거장이 준공될 것이다. 영화계도 무중력 상태에서의 촬영을 시도할 것이다.

https://www.technologyreview.com/2021/12/07/1041420/spacex-starship-rocket-solar-system-exploration

How SpaceX’s massive Starship rocket might unlock the solar system—and beyond

With the first orbital test launch of Starship on the horizon, scientists are dreaming about what it might make possible— from trips to Neptune to planetary defense.

www.technologyreview.com


10. Political football
: 베이징 올림픽이나, 카타르 월드컵이 정치문제에 이용될 것이다.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겠지만, 그 반대도 당연히 가능하다.



참고자료

https://www.economist.com/the-world-ahead/2021/11/08/ten-trends-to-watch-in-the-coming-year

Ten trends to watch in the coming year

As the world emerges from the covid-19 pandemic, 2022 will be dominated by the need to adjust to new realities

www.econom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