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세포배양 해산물(cell-cultivated seafood) 스타트업 와일드타입(wildtype)에 투자함을 밝혔다. 와일드타입은 이번 투자금 유치에서 1억불을 유치했다. 제프 베조스도 투자에 동참했다.
https://thefishsite.com/articles/dicaprio-and-bezos-join-wildtypes-100-million-series-b-funding-cell-cultured-seafood
DiCaprio and Bezos join Wildtype’s $100 million series B funding
The private equity fund is among the largest investments into a cell-based seafood company. The round was led by L Catterton, and includes investments from Leonardo DiCaprio, Bezos Expeditions, Temasek, S2G Ventures Oceans and Seafood Fund, Robert Downey J
thefishsite.com
2. 와일드타입은 연어의 세포를 체취하고, 체취한 세포로 실험실에서 어육을 배양한다. 생명 윤리 측면 외에도 소비자 어필을 시도한다. 배양 연어는, 살아있는 연어와 달리, 수은,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오염물질을 함유하지 않음을 어필한다. 배양육이 클린미트 프레임 띄우는 것과 같다.
https://www.wildtypefoods.com/our-salmon
Our Salmon
Because of the warming climate and increased habitat destruction caused by dams, deforestation, and development, dozens of subspecies of salmon are on the brink of extinction across the North Pacific.
www.wildtypefoods.com
3. 와일드타입의 창립자 중 1명은 외교관 출신이다.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근무하며 세계 식량 안보 불안을 절감했다. 이 경험이 그를 와일드타입 창립으로 이끌었다.
4. 와일드타입은 지난해 기술혁신 경연 비영리재단 '엑스프라이즈(XPrize)'의 'Feed the Next Billion' 경연 준결승에 진출했다. 닭고기와 생선의 대체 식품--접근성 있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고, 동물 윤리적이고, 영양성 높고, 맛있는--을 개발하는 경연이다. 총상금 15백만불이 걸려 있다. 총 14개국의 28개 기업이 진출했다. 올해까지 준결승을 치러 10개 기업은 결승에 진출한다.
https://www.xprize.org/prizes/feedthenextbillion/articles/feed-the-next-billion-announce-semifinalist
IN COMPETITION TO DISCOVER TOMORROW’S PROTEINS, XPRIZE UNVEI
IN COMPETITION TO DISCOVER TOMORROW’S PROTEINS, XPRIZE UNVEI
www.xprize.org
4-1. 엑스프라이즈 준결승 진출 기업 중에는 한국 기업도 있다. The PlantEat이라는 회사다. 소스, 베이커리, 음료 등 다양하게 만든다.
http://theplanteat.com/
HOME - The PlantEat
더플랜잇은 순식물성 대체식품을 디자인하는 푸드테크 스타트업입니다. 육류 위주의 식습관이 야기한 사회적 문제와 글로벌 영양 불균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설립되었습니다. 더플랜잇
theplanteat.com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발 하라리의 우크라이나 전쟁 논평 (0) | 2022.03.09 |
---|---|
군수산업 투자도 ESG 투자? (0) | 2022.03.07 |
팍스 비트코이니카(Pax Bitcoinica)? (0) | 2022.03.02 |
ESG 트렌드: 'Social'의 대두 (0) | 2022.02.24 |
EIU 2021 민주주의 지수 (0) | 2022.02.22 |